소개팅 어플에서 여성의 학력과 직업은 왜 중요하지 않을까?
소개팅 어플에서 남성과 여성이 상대방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은 다릅니다.
특히 "학력"과 "직업"을 바라보는 관점은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.
여성들은 남성의 학력과 직업을 세세하게 본다
여성들은 소개팅 상대의 학력이나 직업을 굉장히 구체적으로 체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- 출신 대학교가 4년제인지
- 인서울 대학인지
- 서울 상위권 대학인지
- 회사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
- 회사명이 무엇인지
- 맡은 업무가 무엇인지
- 대기업, 중견기업, 공기업, 전문직 여부
이처럼 아주 디테일한 기준을 가지고 상대를 평가합니다.
그리고 대부분 본인보다 더 좋은 조건의 남성을 선호합니다.
✔ 본인이 인서울 졸업생이면 서울 상위권 대학이상 졸업한 남성을 선호하고
✔ 본인이 중견기업 다니면 대기업이나 전문직 남성을 선호하는 식입니다.
이처럼 여성분들은 본인 조건보다 더 나은 조건을 원하고 이부분이 매칭시 중요하게 작용합니다
이것은 인간 본능 중 하나인 '상향 선택' 심리가 반영된 결과입니다.
남성들은 여성의 학력과 직업을 덜 중요하게 본다
반면 남성들은 여성의 학력이나 직업을 그렇게까지 세세하게 따지지 않습니다.
- 고졸인지 대졸인지
- 서비스직이나 현장직인지 사무직인지
소개팅 어플에선 여성분의 학력이나 직업을 보시는 남성분들도 대부분 이정도로만 요청하며
여성분이 어느 대학교를 나왔는지, 회사가 대기업인지, 회사명이 무엇인지까지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.
제일 중요한건 남성들은 여성의 조건이 본인보다 더 좋다고 해서 플러스 점수를 주지도 않습니다.
✔ "본인보다 좋은 스펙을 가진 여성"를 만나고 싶어하지 않는다.
✔ 남성에게 중요한 건 조건이 아니라 외적인 호감과 매력입니다.
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?
이유는 간단합니다.
- 여성은 남성의 능력과 사회적 지위를 안전성의 지표로 본다.
- 남성은 여성의 외적 매력과 상호 감정을 더 중요하게 본다.
즉, 소개팅 어플에서도
여성들은 남성의 학력과 직업을 통한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고,
남성들은 여성의 분위기, 매력, 호감도를 통해 연애 가능성을 판단합니다.
핵심 요약
- 여성 → 남성의 학력, 직업을 매우 구체적으로 본다.
- 남성 → 여성의 학력, 직업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.(좋은 학력과 직업이라도 그부분이 매력도에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)
- 남성은 조건이 아니라 호감을, 여성은 조건을 더 중요하게 본다.
정리하자면,
소개팅 어플에서 남성이 여성의 학력과 직업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.
여성들의 기준과 남성들의 기준은 애초에 출발점부터 다르기 때문입니다.
너무 조건에만 집착하기보단, 본인만의 매력과 분위기를 가꾸는 것이
진짜 좋은 만남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입니다.
(여성분들이 남성분들에 비해 조건을 더 많이 본다는 것이지 외모를 안본다는게 아닙니다. 외모는 기본이자 필수조건입니다.)
재밌으셨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립니다.
좋아요와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.
댓글 쓰기